옥룡사지요약
전라남도 광양시 옥룡면 추산리에 있는 통일신라 말기에 세워진 옥룡사 절터.
지정종목 사적
지정번호 사적 제407호
지정일 1998년 08월 03일
소장 광양시
소재지 전라남도 광양시 옥룡면 추산리 302 외
시대 통일신라
종류/분류 절터
크기 면적 182,645㎡ 옥룡사지 / 전남 광양시 옥룡면 추산리.
본문
1998년 8월 3일 사적 제407호로 지정되었다. 옥룡사지는 통일신라 말기의 뛰어난 고승이자 풍수지리의 대가인 선각국사 도선이 35년 동안 머무르면서 수백명의 제자를 가르치다가 입적한 곳이다. ‘옥룡’이라는 지명은 도선의 도호인 ‘옥룡자’에서 유래하였다고 전해진다.
옥룡사지를 싸안고 있는 백계산은 주산인 백운산에서 뻗어내린 지맥으로 이루어진 아담한 산으로, 백운산의 중앙에 자리잡고 있다. 옥룡사지 주변에는 도선국사가 땅의 기운을 보강하려고 심었다는 동백나무 7,000여 본이 7만㎡에 걸쳐 동백 숲을 울창하게 이루고 있다.
옥룡사는 통일신라 말에 조그만 암자였던 것을 도선국사가 864년에 다시 고쳐 거기에 머물렀다. 수백명의 사문들이 그의 법문을 듣고자 몰려들어 옥룡사파란 지파가 생겨났다. 이에 몰려드는 인원을 수용하려고 인근에 운암사라는 사찰을 추가로 건립한 것으로 전해진다.
옥룡사는 몇 차례 불이 나기도 하였으나, 꾸준히 사세를 이어오다가 1878년 화재로 소실된 뒤 폐찰되었다. 지금의 대웅전은 1969년에 건립되었다. 옥룡사지에는 도선국사와 수제자인 통진대사의 비와 탑이 세워져 있었으나 1920년 무렵에 모두 없어지고 비문만 탁본되어 《동문선》 등에 전해져온다.순천대학교박물관에서 실시한 1994년 지표조사 및 1997년 발굴조사 결과, 도선국사와 통진대사 부도전지 및 비전지 등 건물지, 명문비편 90여 점이 확인되었다. 도선국사의 것으로 추정되는 유골과 이 유골을 안장한 것으로 보이는 석관이 발견되어 당시 고승들의 장례풍습을 알 수 있다.
운암사
요약
전라남도 광양시 옥룡면 추산리에 있는 통일신라 때의 운암사 절터.
본문
전라남도 광양시 옥룡면 추산리 추동마을 북쪽 골짜기에 있다고 구전되고 있다. 운암사는 도선국사가 서기 865년에 창건하였다. 16세기까지는 사세를 이어왔으나 18세기에 들어와 폐사되었다.
현재는 박득수 스님이 옛 운암사 지역에 운암사를 지어 사세를 확장하고 있다
*펜션에서 순천까지 1시간소요.
지리산펜션:지리산 대호펜션 063)625-4051, 010-9553-5786
전라남도 광양시 옥룡면 추산리에 있는 통일신라 말기에 세워진 옥룡사 절터.
지정종목 사적
지정번호 사적 제407호
지정일 1998년 08월 03일
소장 광양시
소재지 전라남도 광양시 옥룡면 추산리 302 외
시대 통일신라
종류/분류 절터
크기 면적 182,645㎡ 옥룡사지 / 전남 광양시 옥룡면 추산리.
본문
1998년 8월 3일 사적 제407호로 지정되었다. 옥룡사지는 통일신라 말기의 뛰어난 고승이자 풍수지리의 대가인 선각국사 도선이 35년 동안 머무르면서 수백명의 제자를 가르치다가 입적한 곳이다. ‘옥룡’이라는 지명은 도선의 도호인 ‘옥룡자’에서 유래하였다고 전해진다.
옥룡사지를 싸안고 있는 백계산은 주산인 백운산에서 뻗어내린 지맥으로 이루어진 아담한 산으로, 백운산의 중앙에 자리잡고 있다. 옥룡사지 주변에는 도선국사가 땅의 기운을 보강하려고 심었다는 동백나무 7,000여 본이 7만㎡에 걸쳐 동백 숲을 울창하게 이루고 있다.
옥룡사는 통일신라 말에 조그만 암자였던 것을 도선국사가 864년에 다시 고쳐 거기에 머물렀다. 수백명의 사문들이 그의 법문을 듣고자 몰려들어 옥룡사파란 지파가 생겨났다. 이에 몰려드는 인원을 수용하려고 인근에 운암사라는 사찰을 추가로 건립한 것으로 전해진다.
옥룡사는 몇 차례 불이 나기도 하였으나, 꾸준히 사세를 이어오다가 1878년 화재로 소실된 뒤 폐찰되었다. 지금의 대웅전은 1969년에 건립되었다. 옥룡사지에는 도선국사와 수제자인 통진대사의 비와 탑이 세워져 있었으나 1920년 무렵에 모두 없어지고 비문만 탁본되어 《동문선》 등에 전해져온다.순천대학교박물관에서 실시한 1994년 지표조사 및 1997년 발굴조사 결과, 도선국사와 통진대사 부도전지 및 비전지 등 건물지, 명문비편 90여 점이 확인되었다. 도선국사의 것으로 추정되는 유골과 이 유골을 안장한 것으로 보이는 석관이 발견되어 당시 고승들의 장례풍습을 알 수 있다.
운암사
요약
전라남도 광양시 옥룡면 추산리에 있는 통일신라 때의 운암사 절터.
본문
전라남도 광양시 옥룡면 추산리 추동마을 북쪽 골짜기에 있다고 구전되고 있다. 운암사는 도선국사가 서기 865년에 창건하였다. 16세기까지는 사세를 이어왔으나 18세기에 들어와 폐사되었다.
현재는 박득수 스님이 옛 운암사 지역에 운암사를 지어 사세를 확장하고 있다
*펜션에서 순천까지 1시간소요.
지리산펜션:지리산 대호펜션 063)625-4051, 010-9553-5786
댓글 없음:
댓글 쓰기